어원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2-09 21:24본문
Download : 어휘발표.hwp
우리 말과 그 표기법이 큰 change(변화)를 겪어 왔기 때문에 수긍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. 우리 고유어에다가 같은 뜻을 가진 한자를 붙여서 만든 단어이지요.
어휘 어원 우리나라어원
설명
다.
이처럼 우리 고유어에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꽤나 있습니다. 우리가 많이 사용하고 있고, 또 그 어감이 꼭 우리 고유어인 것처럼 생각되어서, 이 단어에 한자가 있다고 한다면, 도무지 믿을 수 없다고 할 것입니다. `마`가 한자일까? `땅`이 한자일까?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을 것입니다. 그러나 다음의 예들에 대한 說明(설명) 을 들어 보시면 수긍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.
Download : 어휘발표.hwp( 50 )
어원
1. 제 목 : `마땅하다`의 어원
어휘 어원 우리나라어원 / ()
레포트 > 사회과학계열
순서





`마땅하다`는 잘 어울리다, 알맞다, 그렇게 하는 것이 옳다 따위의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. `굳건하다, 튼실하다, 익숙하다`등이 그러한 예들입니다. 이것은 `맞다`의 어간 `맞-`에다가 이 `맞다`와 같은 뜻을 가진 한자 `당(마땅 당)`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말입니다.
어휘 어원 우리나라어원 / ()
`마땅하다`는 원래 `맛당하다`로 또는 `맛당하다`로 표기되었습니다.